원문
Jae Hyun Lee
연재] 한국 개발자들을 위한 영어 강의 - 4. 동사에 대하여...(3) 지난 시간 우리는 동사의 형태변화와 그 해석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사실 언어에서 형태변화는 의미변화를 뜻하므로 형태에 민감한 사람들은 해석에도 능합니다. 언어는 고밀도의 지식체계이고, 매우 높은 정도의 통합성이 있어서, 군더더기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마 군더더기가 있었더라도...
목차
동사의 구성
동사의 경우 단순히 동사 혼자
그 의미를 만들어 낼 수도 있지만
부사와 조동사를 더해 그 의미를 더하고
완성할 수도 있다
조동사의 예
- 흔히 '예정, 가능, 의무' 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will, can, must, should'
- '시제, 상, 태' 의 의미를 나타내는
'be+pp, have+pp, be+~ing'
- 본동사에 대한 '보조적 의미 강화' 를 나타내는
'want to[소망], be going to[예정], intend to[의도], have a tendency to[경향], ...'
특히
세 번째의 경우에는 본동사에 대한 의미를
동사를 통해 더함으로
수 많은 조동사가 있을 수 있다
조동사의 확장
또 조동사는
'시제 - 상 - 태' 가 연결됐던 것처럼
조동사들끼리 서로 연결되어
병렬 표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
He is able to be going to intend to talk to her
[가능] [예정] [의도]
처럼 조동사들끼리 연결되어 병렬 표현이 가능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동사가 형태적으로나 의미적으로나 큰 비중을 가지게 된다
결국
위의 예에서 동사는 'is able to be going to intend to talk' 까지가 동사가 되며
💡
이를 한 묶음으로 보는 것이
구조나 의미 해석에 더욱 수월하다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문법] 동사(4) - 보충어 (0) | 2021.05.12 |
---|---|
[영문법] 동사(2) - 시제/상/태 (0) | 2021.02.16 |
[영문법] 동사(1) - 문장의 구조 (0) | 2021.02.13 |
[mysql] 정렬 후 그룹화 (0) | 2021.02.02 |
댓글